-
직장 내 괴롭힘은 더 이상 개인이 감내할 문제가 아닙니다. 2025년 현재, 고용노동부는 신고자 보호 및 절차 간소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내부 신고·노동청 외부 신고 모두 가능합니다. 본문에서는 법적 정의, 신고 절차, 서식 양식 다운로드 링크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직장 내 괴롭힘, 참는다고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냥 조용히 넘어가자”는 생각이 누적되면, 결국 건강과 경력이 무너집니다. 고용노동부는 직장 내 괴롭힘을 명확히 법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사용자(사장)에게도 신고 접수·조사·보호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는 카카오톡·단톡방·이메일·메신저 등 비대면 괴롭힘도 처벌 대상이 되며, 단순 언행도 반복되면 '지속적 괴롭힘'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의 법적 정의
직장 내 괴롭힘이란?
직장에서의 지위나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자주 발생하는 유형
- 모욕·비난·험담·고성 반복
- 회의 제외, 따돌림, 부서 고립
- 과도한 야근·반복 업무 전가
- 육아휴직·병가 등 합법 권리 무시
- 단체 채팅방 내 비하·놀림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신고는 ① 사업장 내부 또는 ② 노동청 외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① 내부 신고 (회사 내)
- 접수처: 인사팀, 고충처리자, 대표이사 등
- 서식 사용: 고용노동부 권장 양식
- 처리 기한: 신고일로부터 25일 이내
- 조치 내용: 가해자 분리, 피해자 보호, 징계 가능
② 외부 신고 (노동청)
- 접수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또는 관할 지방노동청
- 신고 방법: 방문, 이메일, 팩스, 인터넷 등
- 권장 상황: 내부 미처리, 2차 가해 우려, 익명 보호 필요 시
신고 전 준비사항 체크리스트
항목 설명 사건 일지 발생일자, 시간, 장소, 행위 요약 증거자료 문자·카톡·이메일 캡처, 녹취 등 근로계약서 직무 범위 대비 부당행위 입증용 진술서 제3자 목격자 진술 있으면 효과적 취업규칙 내부규정 위반 여부 확인용 팁: 모든 자료는 날짜·행위 주체·정황 중심으로 정리하고, 디지털 자료는 편집 없이 원본 유지가 중요합니다.
고용노동부 신고 서식 다운로드
- 서식 명칭: 직장 내 괴롭힘 신고서
- 작성 방식: 한글(HWP), PDF, 직접 작성 가능
- 기재 항목: 피해내용, 일시, 가해자, 증거 유무 등
- 익명 제출 가능 여부: 가능 (단, 처리 범위 제한 있음)
신고 후에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신고가 접수되면, 고용노동부 또는 회사는 10일 이내 조사 개시, 25일 이내 처리 결과 통보가 원칙입니다.
신고 후 발생할 수 있는 상황
- 가해자 분리조치 (전보, 업무조정 등)
- 피해자 보호 요청 가능 (휴가, 재배치)
- 조사 미진 시 노동청 → 인권위 병행 가능
- 보복 인사 시 법적 처벌 및 과태료 가능
실제 사례로 보는 직장 내 괴롭힘 신고
- [서울 IT기업] 단톡방 반복 비하 → 캡처 제출 → 가해자 징계
- [부산 병원] 임신 후 업무배제 → 노동청 신고 → 인사발령 조정
- [경기 제조업] 지속적 외모비하 발언 → 녹취·진술서 제출 → 가해자 전보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익명으로 신고해도 처리되나요?
네. 익명신고 가능하며, 내부조사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외부조사는 별도로 진행됩니다.Q2. 신고했다고 불이익 받으면 어떡하나요?
보복 인사는 법 위반입니다. 형사처벌 및 과태료 부과 대상이므로 즉시 고용노동부에 추가 신고하세요.Q3. 오래된 사건도 신고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증거가 존재한다면 최대 3년 이내 사건도 조사 대상입니다.결론: 침묵을 깨야 해결이 시작됩니다
직장 내 괴롭힘은 개인의 인내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신고는 근로자가 누릴 수 있는 정당한 권리이며, 법은 피해자를 우선 보호합니다. 불합리한 고통을 겪고 있다면, 지금 바로 서식 작성부터 시작해 보세요.
'직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근로자 휴가지원금 신청 가이드|정부가 국내여행비 10만 원을 지원합니다 (0) 2025.08.25 2025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신청방법, 정부가 휴가비 10만 원을 지원합니다 (1) 2025.08.25 2025 직장인 금융지원센터 이용 가이드: 어떤 도움 받을 수 있을까? (0) 2025.08.25 2025 IRP 퇴직금 수령방법, 언제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1) 2025.08.24 2025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및 필요서류 정리 (0) 2025.08.23 2025 이직확인서 '1일 소정근로시간' 제대로 쓰는 법 (0) 2025.08.22 2025 실업급여 피보험자를 위한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총정리 (0) 2025.08.22 대체휴일 적용대상 총정리! 나도 해당될까? 민간기업·직장인 필독 가이드 (0)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