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력은 충분한데 기회는 부족한 시니어 세대
“일할 수는 있는데 일할 자리가 없다.” 퇴직 후에도 일하고 싶은 시니어들이 많지만, 실제 재취업 기회는 녹록지 않습니다. 연령 제한, 기업의 인건비 부담, 고용 불안정 등이 시니어 세대의 재진입을 막는 주요한 벽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공동 추진하는 ‘시니어 인턴십제도’가 2025년에도 전국 단위로 시행됩니다. 참여 시니어에게는 월 최대 90만원의 인건비 지원, 참여 기업에게는 고용 장려금까지 제공되어 고령자 고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합니다.
지원 대상 요건
✔ 시니어(구직자) 요건
- 만 60세 이상(2025년 기준 1965년생 포함)
-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
- 사업자 등록 또는 피보험 이력 없는 자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도 가능 (중복 급여 불가)
✔ 참여 기업 요건
- 고용보험 가입된 5인 이상 기업(일부 업종 예외)
- 인건비 일부 자체 부담 능력 보유
- 비영리기관 또는 단기 대체인력 채용 기업은 제외
지원 내용 및 기간
구분 내용 인턴 기간 3개월 (주 30시간 이상 근무 기준) 정부 지원금 월 최대 90만원 (총 270만원 한도) 정규직 전환 시 3개월간 월 75만원 추가 지원 연간 기업 신청 한도 1개 기업당 연 3명까지 👉 총 지원 한도 최대 495만원 (3개월 인턴 + 3개월 정규직 전환 시)
신청 방법 (단계별 절차)
- 상담 및 참여 신청 - 지역 고령자 인력개발센터 또는 시니어클럽 방문/전화
- 참여자 및 기업 매칭 - 수행기관이 양측 조건 확인 후 연결
- 근로계약 체결 - 인턴십 시작 전 근로계약 필수
- 정부 지원금 신청 및 지급 - 기업이 월별 신청, 계좌 입금
※ 문의처: 노인일자리 상담센터 1544-3388
필요 서류 체크리스트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 구직 신청서(센터 양식)
- 기업: 사업자등록증, 고용보험 가입 확인서
주의사항 및 유의 포인트
- 타 일자리사업과 중복 참여 불가
- 무급 인턴·형식적 고용 지원 제외
- 정부 지원금 외 일부 급여는 기업이 분담
- 정규직 전환은 기업 재량, 자동 전환 아님
자주 묻는 질문(FAQ)
Q1.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인데 참여 가능한가요?
A1. 아니요. 고용보험 및 건강보험 직장가입 이력이 있으면 참여할 수 없습니다.Q2. 정부가 월급 전액을 지원하나요?
A2. 아닙니다. 최대 90만원까지만 지원하며, 나머지는 기업이 부담합니다.Q3. 참여자 본인이 신청할 수 있나요?
A3. 개인 신청은 불가하며, 기업과 매칭을 통해 이루어집니다.Q4. 근로시간은 얼마나 되어야 하나요?
A4. 주 30시간 이상 근무가 원칙이며, 미만일 경우 지원금이 줄어듭니다.사례 및 계산 예시
- 사례① 서울 65세 A씨 - 복지센터 근무, 월급 130만원 중 90만원 정부 지원
- 사례② 부산 62세 B씨 - 물류센터 정규직 전환, 추가 3개월 장려금 225만원 수령
- 사례③ 광주 60세 C씨 - 단기 인턴 참여 후 퇴사, 총 3개월 인건비 270만원 지원
지금 할 수 있는 일
가까운 고령자 인력개발센터에 전화해 참여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빠른 상담이 기회를 만듭니다.
핵심 정리
- 만 60세 이상 대상, 최대 월 90만원 인건비 지원
- 2025년 전국 시행, 정규직 전환 시 장려금 추가
- 센터 매칭 구조, 신청은 개별이 아닌 기업 연계 방식
'5060 액티스시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0대 여성도 할 수 있는 직업 추천 TOP 7 (0) 2025.09.06 2025년 60대 전기기사 취업 현실과 전략: 자격만 있다면 기회는 열려있다 (0) 2025.09.04 2025년 50대 자격증 추천: 조경기능사로 시작하는 안정 재취업 (0) 2025.09.04 2025 시니어 인턴십 지원금 신청 가이드: 만 60세 이상, 최대 495만원 (0) 2025.09.03 2025 시니어 취업 기술 강좌, 어디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신청할까? (1) 2025.08.21 2025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 제도, 기초연금까지 줄어드나? (0) 2025.08.21 2025 기초노령연금 인상률, 얼마나 올랐을까? 수급자라면 꼭 확인하세요 (0) 2025.08.21 2025 기초노령연금 부부합산금액 기준, 어디까지 괜찮을까? (0) 202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