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기초노령연금이 전년 대비 1.75% 인상되어, 단독가구 기준 최대 월 334,770원까지 수령 가능합니다. 부부가구는 1인당 284,55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단, 소득인정액과 부부감액제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가능합니다.
“기초연금 올랐다고 하던데, 나는 왜 그대로인가요?”
기초노령연금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정됩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인상되었지만, 수급자 입장에서는 금액 변화가 체감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는 소득인정액이 기준을 초과하거나, 부부가 동시 수급 시 감액되는 구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초연금 인상률 수치부터 실제 수급 영향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기초노령연금 2025년 인상률 요약
연도 단독가구(월 최대) 부부가구(1인당) 인상률 2023년 323,180원 274,200원 - 2024년 329,000원 280,000원 약 1.8% 2025년 334,770원 284,550원 약 1.75% 2025년 물가상승률 반영 결과, 전년 대비 단독 기준 약 5,770원 인상되었습니다.
수급 기준 요약 (2025)
- 연령 요건: 만 65세 이상 (1959.12.31 이전 출생자)
- 거주 요건: 국내 거주 + 대한민국 국적
- 소득인정액 기준
- 단독가구: 213만 원 이하
- 부부가구: 341.6만 원 이하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왜 ‘최대 금액’을 못 받는 걸까요?
기초연금은 일괄 지급이 아니라 소득인정액에 따라 감액 적용됩니다.
실제 수령액 = 기준 최대 금액 – 감액분
주요 감액 사유
- 공적연금 수령 중 (국민연금 포함)
- 금융재산 기준 초과 (예·적금, 펀드 등)
- 부동산 보유 또는 임대소득 발생
- 부부 동시 수급 시 감액 (부부감액제)
부부감액제 적용 구조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수급할 경우, 1인당 감액된 금액만 지급됩니다.
구분 1인당 지급액 총액 단독 수급 334,770원 334,770원 부부 수급 284,550원 569,100원 이는 중복 지원 방지와 복지 재정 안정을 위한 제도로, 2025년에도 유지됩니다.
신청 방법 요약
- 만 65세 생일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 신청 경로:
-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복지로 온라인 신청
- 필요 서류:
- 신분증, 통장 사본
- 배우자 정보, 소득·재산 관련 자료
- 처리 기간: 약 30~60일
- 지급일: 매월 25일
체감 수급 변화 예시
사례① | 단독가구 | 2024년 기준 수급자
- 2024년 수령액: 329,000원
- 2025년 수령액: 334,770원 → +5,770원
사례② | 부부 수급자 | 감액 적용
- 2024년: 각 280,000원
- 2025년: 각 284,550원 → +4,550원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초연금은 해마다 무조건 오르나요?
아닙니다. 전년도 물가상승률에 따라 조정 여부와 인상 폭이 결정됩니다.
Q2. 나는 왜 인상 적용이 안 됐나요?
소득인정액이 기준보다 높거나, 감액 사유가 있을 경우 전액 또는 일부 감액되어 인상폭이 체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3. 부부가 같이 받으면 왜 줄어드나요?
복지 형평성 확보를 위해 부부감액제가 적용되며, 이는 2025년에도 동일하게 운영됩니다.
Q4. 금융재산이 많은데 받을 수 있을까요?
2,000만 원 공제 후 월 소득 환산(×0.04 ÷ 12)하여 기준 이하일 경우 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 줄 정리
2025년 기초노령연금, 단독 334,770원으로 인상… 감액 여부는 소득인정액이 좌우합니다.
핵심 요약
기초노령연금은 2025년 기준 단독 최대 334,770원, 부부 수급 시 1인당 284,55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소득인정액 초과 또는 부부감액제로 실제 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청은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가능합니다.
'5060 액티스시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시니어 인턴십 지원금 신청 가이드: 만 60세 이상, 최대 495만원 (0) 2025.09.03 2025 시니어 인턴십제도: 만 60세 이상 재취업, 정부가 월 90만원 지원 (0) 2025.09.03 2025 시니어 취업 기술 강좌, 어디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신청할까? (1) 2025.08.21 2025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 제도, 기초연금까지 줄어드나? (0) 2025.08.21 2025 기초노령연금 부부합산금액 기준, 어디까지 괜찮을까? (0) 2025.08.21 2025 기초노령연금, 금융재산 얼마까지 괜찮을까? 계산법 총정리 (0) 2025.08.21 2025 문화누리카드 완전정리: 시니어·액티브시니어를 위한 문화지원 가이드 (0) 2025.08.20 2025 신중년 창직 프로그램 완전 정리: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새로운 일 설계 (0) 2025.08.20